최신 스마트폰 중에서 유일하게 다른 충전 단자를 사용하는 아이폰이 유럽의 법 개정으로 인해 USB-C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은 제품군중에서 유일하게 아이폰에만 왜 지금까지 USB-C를 탑재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정리하고자 한다.
하드웨어의 구조적 차이
라이트닝 포트와 USB-C의 하드웨어적인 차이는 커넥터의 암/수이다. USB-C기기의 경우 충전 케이블이 암 커넥터이고 전자기기가 수 커넥터이다. 반대로 아이폰은 라이트닝 암 커넥터이고 라이트닝 케이블이 수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충전 케이블을 자주 연결 및 분리하게 되는 경우에 라이트닝 커넥터가 USB-C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의 고장 수리 발생 확률을 증가시켜 고객 만족도 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 커넥터의 하드웨어적 모양이 애플이 아이폰은 USB-C를 사용하지 않았던 이유라고 생각된다.
기존 하드웨어 성능 적극적활용
애플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잘 다루는 거의 유일한 회사이다. 동일한 스펙의 하드웨어를 애플에게 주고 아이폰을 만들어달라고 한다면 애플은 하드웨어를 100% 이해하고 모두 활용하도록 소프트웨어를 설계한다. 갤럭시 유저가 스펙이 낮은 아이폰을 사용하더라도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다. 아이폰은 이미 아주 좋은 하드웨어이다. 다만 라이트닝 포트가 없을 뿐이다. 데이터를 이동할 때는 최신의 무선장치(Wifi, bluetooth)를 이용한 에어드롭이 있다. 사용하신 분은 알겠지만 정말 속도가 빠르고 사용하기 편리한다. 충전이 필요한 경우엔 최근 출시한 최고의 무선 충전 기술 맥세이프를 활용하면 된다. 애플은 아직 USB-C로 바꿔야 할 이유가 없다. 아직도 하드웨어를 백 프로 활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라이트닝 케이블 추가 판매
보통 아이폰을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은 라이트닝 케이블을 한 개만 소유하고 있지 않는다. 외출을 한다거나, 직장에서 사용한다거나, 고장이 나면서 추가로 구매하게 된다. 라이트닝 케이블 라이선스는 당연히 애플의 것이다. 라이트닝 케이블을 3rd 파티에서 구한다고 할지라도 애플은 라이센스 비용을 받게 되고 이 또한 애플의 입장에서는 상당한 수익을 안길 것이다.
결론
애플은 위에서 언급한 내용 이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USB-C를 도입하지 않았다. 하지만 EU 규제로 인해 앞으로 출시될 아이폰에는 USB-C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많은 소비자들이 원할 때는 도입하지 않았던 USB-C 커넥터를 규제로 인해서 바뀌게 되는 것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씁쓸하다. 왜 애플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외면한 것일까. 그들의 이익을 위해서 소비자들의 요구는 왜 받아들여지지 않는가. 규제가 있어야만 했는가.
2022.10.04 - [분류 전체보기] - 아이폰 마침내 USB-C
아이폰 마침내 USB-C
아이폰을 제외한 수많은 스마트폰은 USB-C를 충전 포트로 사용하고 있다. 사실은 애플 제품 군에서도 유일하게 아이폰만 라이트닝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애플 워치는 사실 더 유별난 충전 방식을
tech-genesis.tistory.com
댓글